카테고리 없음

우분투(Ubuntu)서버 명령어

브라이언큐리 2024. 9. 30. 23:22
반응형

우분투(Ubuntu) 서버는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이므로, 이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어들이 존재합니다. 여기서는 자주 사용되는 우분투 서버 명령어들을 범주별로 설명하겠습니다. 완전한 목록은 매우 방대하며, 각 명령어는 기본적인 시스템 관리부터 고급 네트워킹 및 파일 시스템 관리까지 다양한 작업에 사용됩니다. 우분투 서버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는 매우 다양하며, 서버 관리와 유지보수에 필수적입니다. 여기서는 기본적인 명령어부터 고급 명령어까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
1. 기본 명령어

1.1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

  • ls: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및 폴더 목록을 보여줍니다.
  •  
  • ls -l # 상세 정보 보기 ls -a # 숨김 파일 포함 보기
  • cd: 디렉토리 변경.
  • cd /path/to/directory  #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
    cd ..  #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
    
  • mkdir: 새 디렉토리 생성.
  • mkdir new_directory  #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
    
  • rmdir: 비어 있는 디렉토리 삭제.
  • rmdir empty_directory  # 비어 있는 디렉토리 삭제
    
  • rm: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.
  • rm file.txt  # 파일 삭제
    rm -r directory_name  # 디렉토리 및 그 안의 모든 파일 삭제
    
  • cp: 파일 복사.
  • cp source.txt destination.txt  # 파일 복사
    cp -r source_directory/ destination_directory/  # 디렉토리 복사
    
  • mv: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동 및 이름 변경.
  • mv old_name.txt new_name.txt  # 파일 이름 변경
    mv file.txt /path/to/directory/  # 파일 이동
    

2. 시스템 정보 관련 명령어

  • top: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모니터링.
  • htop: top의 대안으로, 더 많은 기능과 인터페이스 제공 (설치 필요).
  • sudo apt install htop  # htop 설치
    
  • df: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 확인.
  • df -h  # 사람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
    
  • du: 디렉토리 또는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 확인.
  • du -sh /path/to/directory  # 특정 디렉토리의 크기 확인
    
  • free: 메모리 사용량 확인.
  • free -h  # 사람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
    

3. 사용자 및 권한 관리

  • useradd: 새 사용자 추가.
  • sudo useradd username  # 사용자 추가
    
  • passwd: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.
  • sudo passwd username  # 특정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
    
  • usermod: 사용자 정보 수정.
  • sudo usermod -aG groupname username  # 사용자에게 그룹 추가
    
  • groupadd: 새 그룹 추가.
  • sudo groupadd groupname  # 그룹 추가
    
  • chmod: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 변경.
  • chmod 755 file.txt  # 소유자: 읽기, 쓰기, 실행 / 그룹 및 기타: 읽기 및 실행
    
  • chown: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 변경.
  • chown username:groupname file.txt  # 파일의 소유자 및 그룹 변경
    

4. 패키지 관리

  • apt: 우분투의 패키지 관리 도구.
    • 업데이트 패키지 목록:
    • sudo apt update
      
    • 패키지 설치:
    • sudo apt install package_name  # 특정 패키지 설치
      
    • 패키지 제거:
    • sudo apt remove package_name  # 특정 패키지 제거
      
    • 전체 시스템 업그레이드:
    • sudo apt upgrade  # 설치된 모든 패키지 업그레이드
      

5.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

  • ifconfig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및 상태 확인 (구식, ip 명령어로 대체될 수 있음).
  • ip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리.
  • ip addr  # IP 주소 확인
    ip link  #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확인
    
  • ping: 네트워크 연결 확인.
  • ping google.com  # 구글 서버에 핑
    
  • netstat: 네트워크 연결 및 포트 상태 확인.
  • netstat -tuln  # 리슨 중인 포트 확인
    
  • ssh: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.
  • ssh username@server_ip  # 원격 서버 접속
    

6. 로그 관리

  • tail: 파일의 끝부분을 확인.
  • tail -f /var/log/syslog  # 실시간 로그 확인
    
  • less: 파일 내용을 페이지별로 확인.
  • less /var/log/syslog  # 로그 파일 내용 확인
    

7. 스크립트 및 자동화

  • bash: 쉘 스크립트 실행.
  • bash script.sh  # 스크립트 실행
    
  • chmod: 실행 권한 부여.
  • chmod +x script.sh  # 스크립트에 실행 권한 부여
    

8. 시스템 종료 및 재부팅

  • shutdown: 시스템 종료.
  • sudo shutdown now  # 즉시 종료
    sudo shutdown -h +10  # 10분 후 종료
    
  • reboot: 시스템 재부팅.
  • sudo reboot  # 재부팅
    

이 외에도 우분투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는 많습니다. 각 명령어에 대해 man 명령어를 통해 매뉴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man ls를 입력하면 ls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.

우분투 서버 관리에 필요한 명령어들을 숙지하고 활용하면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합니다.

반응형